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한국여자프로농구 퓨처스리그

덤프버전 :




[ 펼치기 · 접기 ]

구분명칭
프로1군한국프로농구한국여자프로농구
2군한국프로농구 D리그한국여자프로농구 퓨처스리그 | 박신자컵
혼합한국프로농구 컵 대회박신자컵
국제동아시아 슈퍼리그 | FIBA 아시아 챔피언스컵 | FIBA 대륙간컵(FIBA 월드컵)
아마추어종합농구대잔치 | 전국체육대회 | 전국남녀종별선수권대회
실업-전국여자실업농구대회
대학한국대학농구리그 | MBC배 전국대학농구대회
중고교춘계연맹전 | 협회장기 | 연맹회장기 | 주말리그 | 추계연맹전 | 돈보스코 농구대회
사회인전국직장인농구리그
장애인한국휠체어농구리그
3X3KXO리그WKXO리그
3X3 프리미어 리그 | 3X3 챌린저스-
폐지혼합프로-아마 농구 최강전-
대학대학농구연맹전




파일:한국여자농구연맹 로고.svg
명칭국문: 한국여자프로농구 퓨처스리그
영문: Women's Korean Basketball League Future's League
종목농구
창설2013년(11주년)
국가
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

리그 주관한국여자농구연맹
총재이병완(2018~ )
최근 우승 구단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(2022-23)
최다 우승 구단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(4회)

1. 개요
2. 역사
3. 특징
4. 참가 구단
5. 역대 우승 구단



1. 개요[편집]


한국여자프로농구의 2군 리그. 한국프로농구 D리그와 비슷한 역할을 수행한다. 참가하지 않는 구단도 있는 D리그와는 달리 6개 구단 전부 거의 매년 참여하고 있다.


2. 역사[편집]


2013년 처음으로 시작되었으며, 1군 리그에서는 부진한 KDB생명이 강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. 2013-14시즌만 구단 간 3번씩 경기하는 리그전을 치른 이후 1-2위 간 챔피언결정전을 시행했으며, 이후에는 리그전만 하여 거기에서 1위를 한 구단이 우승을 하게 된다. 14-15시즌부터 16-17시즌까지는 구단 간 2번씩 경기하는 것으로 줄었으며, 17-18시즌부터 현재까지는 구단 간 경기 수가 1경기로 또 줄었다. 로스터를 채우지 못해 기권하는 경우도 간간히 보이며 21-22시즌에는 코로나19로 인해 KB와 우리은행이 참가를 포기하여 나머지 4구단만이 퓨처스리그에 참가했다.

만일 승패가 같으면 승자승 원칙을 따라 순위가 결정된다.

3. 특징[편집]


  • 한 경기장에 모여서 치러지는 KBL D리그와 달리 각 구단의 홈구장에서 경기를 치른다.
  • 오후 16:00에 시작한다.


4. 참가 구단[편집]




5. 역대 우승 구단[편집]


시즌우승점수준우승MVP
2013-14구리 KDB생명 위너스(2위)66-63(연장)춘천 우리은행 한새(1위)김소담 (KDB생명)

시즌우승준우승MVP
2014-15청주 KB 스타즈(8승 2패)구리 KDB생명 위너스(7승 3패)김민정 (KB)
2015-16구리 KDB생명 위너스(9승 1패)청주 KB 스타즈(8승 2패)진안 (KDB생명)
2016-17청주 KB 스타즈(5승 5패)
2017-18청주 KB 스타즈(4승 1패)[1]부천 KEB하나은행(4승 1패)김한비 (KB)
2018-19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(4승 1패)[2]김나연 (삼성생명)
2019-20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(4승)부천 하나은행(4승 1패)신이슬 (삼성생명)
2020-21부천 하나원큐(4승)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(3승 1패)이지우 (하나원큐)
2021-22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(3승)부산 BNK 썸(2승 1패)신이슬 (삼성생명)
2022-23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(4승 1패)청주 KB 스타즈(3승 2패)조수아 (삼성생명)
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2-25 11:27:04에 나무위키 한국여자프로농구 퓨처스리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

[1] 승자승 원칙에 의거하여 KB스타즈가 1위가 되었다.[2] 승자승 원칙에 의거하여 삼성생명이 1위가 되었다. 시즌 연속 승자승으로 2등한 KEB